팀에서 목데이터를 분석하면서 GET이 아닌 POST로써 데이터를 읽을 수도 있다는 그런 정보를 알게 됐다
백엔드 현업 개발자 동생.. (진짜 든든보스) 옆에서 알려줬다.
GET과 POST의 차이!
가져온다.. 의 개념은 GET이 맞지만,
GET은 POST,PATCH 등등이랑 다르게, body가 없다.
단순히 쿼리파라미터로 “조건”이 있는 간단한 요청만 보낼 수 있는 것.
전체 상품 조회나 이런 단순한 조건은 괜찮지만..
빨간색 > 인기 목록 등 이렇게 조건이 길어지고 받아와야 할게 많으면
JSON 형태의 바디가 있는 POST를 사용 !
GET 요청의 특징
- 바디(body)를 보낼 수 없음 (RFC 상은 technically 가능하지만, 대부분의 브라우저나 서버에서는 무시함)
- 대신 **쿼리 파라미터(query parameters)**로 데이터를 전달함
- 예: /products?color=red&category=shoes
- **조회(read)**에 사용함 →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음
- URL 길이 제한이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달하기엔 적합하지 않음
POST/PUT/PATCH 등은 바디 사용 가능
- 요청 body에 JSON 형태로 원하는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음
- 예:
- { "category": "shoes", "colors": ["red", "blue"], "priceRange": [100, 200] }
- 필터 조건이 복잡하거나 많은 데이터를 보낼 땐 GET 대신 POST를 쓰기도 함 (특히 검색 API에서 자주 그렇게 함)
'Studying > AP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PI 공부하기 - 공부 및 큰 틀 공부하기 (0) | 2025.07.05 |
---|---|
API 공부하기 - api명세서와 스웨거Swagger가 뭘까 ? (1) | 2025.06.28 |
리액트 공부하기 - API 엔드포인트 (0) | 2025.05.27 |
웹 인증 공부하기 - session 세션 (0) | 2025.05.16 |
웹 인증 공부하기 - 쿠키 cookie (1) | 2025.05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