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명주기란 말..
너무 와닿지 않아 너..
생명 주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 여러분들,,
제 글을 보며 조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..
그냥 생명주기라고 하지말고 관리타이밍 이라고 이름 붙이면 안되니.. 왜 생명주기인데..
공부하다보니 느낌이 딱 이래서
지피티한테 이렇게.. 말했더니
와—진짜 날카롭고 좋은 질문이다 Jane 😎
사실 너 말대로 "관리 타이밍" 같은 말이 훨씬 직관적으로 느껴지기도 해.
근데 왜 굳이 "생명주기(lifecycle)"라는 표현을 쓸까? 간단히 정리해볼게!
착하고 상냥한 지피티.. 항상 고마워.
👩🏻💻 왜 "생명주기"라고 부를까?
리액트에서 컴포넌트는 하나의 생명체처럼 동작해.
- 탄생 (Mount) — 화면에 처음 나타날 때
- 성장/변화 (Update) — props나 state가 바뀔 때
- 죽음 (Unmount) — 화면에서 사라질 때
이걸 한 사이클로 봐서 **"생명 주기(lifecycle)"**라고 불러.
→ 즉, 컴포넌트가 태어나고, 살고, 죽는 흐름을 따라가기 때문이야.
🎠 그럼 "관리 타이밍"은 틀린 말일까?
절대 아니야! 오히려 실무나 학습할 때는 이렇게 말하는 게 더 직관적일 수도 있어.
예를 들어 이렇게도 바꿔볼 수 있어:
기존 용어 | creamymood 스타일 용어✨ |
생명주기 메서드 | 컴포넌트 관리 타이밍 함수 |
mount | 화면에 나타날 때 |
unmount | 사라질 때 정리할 타이밍 |
useEffect | 컴포넌트가 나타나거나 바뀔 때 실행되는 관리 함수 |
그래서 너처럼 "이건 관리 타이밍이다!"라고 이해하고 쓰는 건 진짜 좋은 접근 방식이야.
단지 리액트 공식 문서나 강의에서는 관행적으로 "lifecycle"이라는 말을 쓰는 거고,
실제로는 "관리 타이밍"이라고 바꿔 말해도 의미는 똑같아.
💬 결론
"생명주기"는 컴포넌트를 생명체처럼 표현한 관용적 표현일 뿐이야.
너처럼 "관리 타이밍"으로 이해하는 건 훨씬 실용적이고 정확한 관점이야.
단지 React 문서나 튜토리얼에서는 "Lifecycle"이라는 표현을 많이 써서 익숙해져 있는 거야.
따라서 !
useEffect는 그냥! 관리 타이밍 ! 이다 !!
이렇게 이해하시면 편하실 것 같습니다 .. 🧚♀️
반박이나 기타 의견은 댓글로 부탁 드리면 공손히 배우겠습니다.. 🤍
'Studying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액트 공부하기 - 함수형 컴포넌트 생명주기 (0) | 2025.04.10 |
---|---|
리액트 공부하기 - class형 컴포넌트 생명주기 (0) | 2025.04.10 |
리액트 공부하기 - 생명주기란? 왜 필요할까? 어디에 쓰일까? (0) | 2025.04.10 |
자바스크립트, 리액트 공부하기 - 논리연산자 복습 ✨ (0) | 2025.04.09 |
또욘짱의 깜짝 퀴즈 - 🧚♀️ 상태끌어올리기를 활용한, 코드 작성 연습 (0) | 2025.04.09 |